본문 바로가기

미국9

도라 디 익스플로러: 다문화 교육의 아이콘 미국 텔레비전 역사상 백인이 아닌 라틴계 소녀가 주인공이 된 일은 아주 드문 일이다. 미국 공영방송국 PBS의 어린이 프로그램 '세서미스트리트'나 다른 만화 프로그램에서 가끔 소수인종이 등장한 적이 있었지만, 주인공이 아닌 조연이었다. 미국에서 '탐험가 도라(Dora The Explorer)'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누린 소수인종의 텔레비전 만화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도라 디 익스플로러는 현재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수십 나라에 방영되고 있어서 미국만의 아이콘이 아니다. '도라'가 2004년 한 해에 벌어들인 돈만 해도 10억 달러를 가볍게 넘는다. '도라'는 거의 10년 동안 전 세계 어린이들의 인기를 누려왔다. 텔레비전뿐 아니라 장난감, 인형, 학용품 등 각종 캐릭터 상품으로 개발되어서 전 세.. 2025. 3. 22.
패러디로 더 유명한 아메리칸 고딕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왁스박물관을 찾았을 때 이 그림을 왁스로 형상화한 걸 보고 무척 반가웠다. 그때는 누가 그린 작품인지도 몰랐지만 어디서 많이 본 친근한 작품이었다. 가장 미국적 이미지란 느낌이 들어서 그 앞에서 사진도 찍었다. 그것은 나의 순진무지한 착각이었다.  '아메리칸 고딕'은 미국 대중문화의 역사상 가장 많이 패러디된 그림이 아닐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와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패러디의 소재가 된 그림이다. 인기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인 '위기의 주부들'의 도입부 장면에 아메리칸 고딕이 다른 그림과 더불어 들어있다. 미국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그림의 패러디를 수시로 다른 작품에서 만나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  위기의 주부들 드라마를 대표하는.. 2025. 3. 18.
영국 드라마가 미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세계 방송산업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 때아닌 영국 드라마의 열풍이 세차게 불어닥치고 있다. 영국 드라마가 미국에 들어와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영국 드라마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는 영국 귀족과 그 하인들 이야기를 다룬 시대극으로 시청자가 무려 1,020만 명에 이르렀고, 다운튼 애비 페이스북 페이지의 팬이 이미 220만 명을 넘어섰다. 더군다나 함께 방송을 보며 파티를 즐기는 컬트 팬들도 생겨났고, 티셔츠, 인형, 차 등 관련 상품은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미국 공영방송 PBS에서 방송되는 간판급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아워(NewsHour)"의 시청자가 270만 명인 것을 고려하면 굉장히 놀라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다운튼 애비 이외.. 2025. 2. 24.
미국 가정 요리의 아이콘: 레이첼 레이 푸드 네트워크 방송국에서 스타 요리사들의 전기를 방송해 줘서 열심히 보고 있다. 지금까지 마리오 바탈리, 샌드라 리, 레이첼 레이, 타일러 플로렌스, 폴라 딘, 지아다 드 로렌티스의 방송을 봤다. 아직 못 본 요리사들도 있지만, 어지간한 스타들의 생애에 대해서 조금 알게 되었다. 요리사의 길이 얼마나 험난한 과정인가. 이들에게 공통된 특징은 창의성이었다. 자신이 배운 거에 만족하지 않고, 자신만의 요리법이나 아이디어를 창조하는 힘이 이들을 스타로 만드는 데 일조했다. 레이첼 레이는 미국 가정요리의 역사를 다시 쓰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레이첼이 만드는 '30분 요리'는 전국적으로 인기 있는 프로그램이다. 30분에 요리할 수 있는 조리법은 바쁜 엄마들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였다. TV디너나 냉동식품에 .. 2025. 2. 20.
미국 서점 문화의 변화와 책 시장 미국의 서점 문화나 책 시장은 한국과는 조금 다르다. 하지만 한국과 마찬가지로 미국도 인터넷이나 게임 같은 다른 즐길 거리가 늘어나서인지 책을 읽는 사람들이 줄어들고 있다. 오프라 윈프리 같은 토크쇼 진행자들이 북클럽을 만들어서 시청자들에게 독서를 권하기도 한다. 오프라 윈프리 북클럽에 선정된 도서가 베스트셀러가 되자, 출판사들이 앞다투어 로비를 벌이는 일까지 있었다. 그래서 처음에는 고전들만 뽑았지만, 요즘은 최근에 발간된 책까지 포함하고 있다. 얼마 전에는 논픽션 부문에 선정된 작가의 글이 허위라고 밝혀졌다. 오프라 윈프리가 어떤 기준으로 책을 뽑는지 궁금하긴 하다. 그녀의 개인적 취향일까 아니면 어디서 자문을 구하는 걸까? 미국의 책 시장은 크게 하드커버(장정판)와 페이퍼백(보급판)으로 나눠진다. .. 2025. 2. 20.
미국에서 일본 애니메이션 인기 상승 터너 클래식이라는 미국 케이블 채널에서 192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심지어 90년대 고전영화 '시애틀의 잠 못 이루는 밤' 같은 영화도 보여준다. 이 채널의 장점이 광고가 전혀 없다는 거다. 미국에서 방송을 보며 제일 짜증나는 게 십 분마다 끼어드는 광고 때문에 프로그램에 집중이 잘 안 되는데, 터너 클래식은 그럴 필요가 없어서 일종에 해방감까지 느낀다. 처음에는 이 채널이 광고도 없이 어떻게 재원을 모으나 궁금했는데, 알고 보니 프로그램을 CD나 DVD로 만들어 파는 걸로 충당하는 거였다. 이 채널로 영화를 보니 대충 미국 영화사가 정리된다. 최근에 제작된 킹콩의 1933년 원작 영화도 보고, '러브 어페어'의 원작도 감상했다. 며칠 전부터 일본 애니메이션 영화를 해줘서 좀 의외였다. '미야자키 .. 2025.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