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텔레비전4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 무한 경쟁의 실상 넷플릭스에 방송한 수많은 한국 드라마 중에 왜 하필이면 이 작품이 이토록 엄청난 관심을 받게 되었을까? 생존게임은 ‘배틀 로얄’이나 ‘헝거 게임’으로 이미 접했으니 친숙한 주제이다. 자본주의 사회비판도 ‘기생충’에 봤으니 전혀 새로운 내용은 아니다. 이 글은 넷플릭스 오징어 게임이 한국 시청자를 포함해서 미국인과 세계인이 즐기는 드라마가 될 수 있었는지를 살펴 본다. 시청자를 감화시킬 수 있었던 코드는 무엇인지 자세히 분석한다. 지극히 한국적인 게임이 어떻게 세계 속의 엔터테인먼트가 될 수 있었을까요? 극심한 빈부격차와 경쟁의식이 낳은 사회적 낙오자 캐릭터는 한국 고유의 창작은 아니다. 오히려 자본주의 사회에서 고통받는 보편적인 캐릭터라서 세계적 울림을 주지 않았을까. 갈등과 반전이 반복되는 긴박한 구성.. 2025. 3. 25.
도라 디 익스플로러: 다문화 교육의 아이콘 미국 텔레비전 역사상 백인이 아닌 라틴계 소녀가 주인공이 된 일은 아주 드문 일이다. 미국 공영방송국 PBS의 어린이 프로그램 '세서미스트리트'나 다른 만화 프로그램에서 가끔 소수인종이 등장한 적이 있었지만, 주인공이 아닌 조연이었다. 미국에서 '탐험가 도라(Dora The Explorer)'만큼 대중적인 인기를 누린 소수인종의 텔레비전 만화 프로그램은 찾아보기 쉽지 않다. 도라 디 익스플로러는 현재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 수십 나라에 방영되고 있어서 미국만의 아이콘이 아니다. '도라'가 2004년 한 해에 벌어들인 돈만 해도 10억 달러를 가볍게 넘는다. '도라'는 거의 10년 동안 전 세계 어린이들의 인기를 누려왔다. 텔레비전뿐 아니라 장난감, 인형, 학용품 등 각종 캐릭터 상품으로 개발되어서 전 세.. 2025. 3. 22.
미드 매드맨: 돈 드레이퍼의 성공과 욕망 사무실에서 틈만 나면 술을 마시고 담배를 피우던 시절이 있다. 까마득한 과거인 거 같지만 1960년대 미국의 모습이다. 1960년대를 떠올리면 히피, 우드스톡 페스티벌, 마틴 루터 킹, 여성 인권운동 등이 떠오른 게 보통일 것이다.1960년대 미국 사회와 광고이 드라마 시리즈는 미국에서 격동의 사회 변화가 일어나기 바로 직전 1960년에서 시작한다. 백인 남자가 모든 권리를 다 쥐고 있고 각종 사회적 차별이 당연하게 여겨지던 시대였다. 매카시즘의 광풍이 지나간 지 얼마 되지 않았고 미국은 소련과 냉전 상태였다.  담배 연기가 뿌연 사무실처럼 희미한 기억 속으로 사라져 가는 과거가 "매드맨"이라는 생생한 드라마로 돌아왔다. 정말 미국의 1960년대를 제대로 재현하고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그 시절에 활동.. 2025. 3. 18.
영국 드라마가 미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세계 방송산업의 메카라고 할 수 있는 미국에 때아닌 영국 드라마의 열풍이 세차게 불어닥치고 있다. 영국 드라마가 미국에 들어와서 폭발적인 인기를 누리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영국 드라마 "다운튼 애비(Downton Abbey)"는 영국 귀족과 그 하인들 이야기를 다룬 시대극으로 시청자가 무려 1,020만 명에 이르렀고, 다운튼 애비 페이스북 페이지의 팬이 이미 220만 명을 넘어섰다. 더군다나 함께 방송을 보며 파티를 즐기는 컬트 팬들도 생겨났고, 티셔츠, 인형, 차 등 관련 상품은 불티나게 팔려나가고 있다. 미국 공영방송 PBS에서 방송되는 간판급 뉴스 프로그램인 “뉴스아워(NewsHour)"의 시청자가 270만 명인 것을 고려하면 굉장히 놀라운 현상이 아닐 수 없다. 다운튼 애비 이외.. 2025.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