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문화2 패러디로 더 유명한 아메리칸 고딕 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왁스박물관을 찾았을 때 이 그림을 왁스로 형상화한 걸 보고 무척 반가웠다. 그때는 누가 그린 작품인지도 몰랐지만 어디서 많이 본 친근한 작품이었다. 가장 미국적 이미지란 느낌이 들어서 그 앞에서 사진도 찍었다. 그것은 나의 순진무지한 착각이었다. '아메리칸 고딕'은 미국 대중문화의 역사상 가장 많이 패러디된 그림이 아닐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와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패러디의 소재가 된 그림이다. 인기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인 '위기의 주부들'의 도입부 장면에 아메리칸 고딕이 다른 그림과 더불어 들어있다. 미국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그림의 패러디를 수시로 다른 작품에서 만나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 위기의 주부들 드라마를 대표하는.. 2025. 3. 18. 중세의 음유시인 중세가 연상시키는 이미지는 마녀사냥, 흑사병, 봉건제, 암흑기 등 부정적이다. 특히 암흑기라는 말 속에는 일종의 통일된 분위기가 중세 전체를 지배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중세는 지금 우리가 인식하듯 통일된 형식 아래 폐쇄적으로 갇힌 사회인가? 이런 고민에서 출발하여 중세를 다시 평가하고, 중세에서 살았던 다양한 계층의 삶을 살펴보고자 한다. 왕, 귀족, 기사, 성직자, 농노, 예술가의 삶의 양태가 어떻게 전개되었는가를 알아보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그들이 놓여있는 시대적 조건도 같이 고려해야지 정확한 이해가 가능하다. 중세의 조건들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중세인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중세가 지나치게 부정적으로 그려지는 이유는 르네상스의 영향 때문일 것이다. 역사에서 신왕조가 기존 왕조를 .. 2025. 2. 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