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프란시스코에 있는 왁스박물관을 찾았을 때 이 그림을 왁스로 형상화한 걸 보고 무척 반가웠다. 그때는 누가 그린 작품인지도 몰랐지만 어디서 많이 본 친근한 작품이었다. 가장 미국적 이미지란 느낌이 들어서 그 앞에서 사진도 찍었다. 그것은 나의 순진무지한 착각이었다.
'아메리칸 고딕'은 미국 대중문화의 역사상 가장 많이 패러디된 그림이 아닐까.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모나리자'와 에드바르 뭉크의 '절규'와 더불어 가장 잘 알려진 패러디의 소재가 된 그림이다. 인기 미국 텔레비전 시리즈인 '위기의 주부들'의 도입부 장면에 아메리칸 고딕이 다른 그림과 더불어 들어있다. 미국 대중문화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이 그림의 패러디를 수시로 다른 작품에서 만나게 될 확률이 매우 높다.
위기의 주부들 드라마를 대표하는 이미지로 이 그림을 빌려온 이유가 있다. 바로 겉으로 드러난 이미지와 그림 속사정이 완전히 다르기 때문이다. 아메리칸 고딕에 등장하는 두 인물은 미국 시골 농장의 부부처럼 보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이들은 부부도 아니다. 농장의 농부는 더더욱 아니다. 미국 미술사에서 오해를 가장 많이 받은 그림이 아메리칸 고딕이다. 이 그림은 미국 전원 생활의 평화를 그린 작품이 아니었다.
아메리칸 고딕의 배경
'아메리칸 고딕'은 아이오와주 시골 마을 시더래피즈 출신인 화가 그랜트 우드가 자신의 여동생과 치과의사를 모델로 완성한 작품이다. 1930년 여름 아이오와주 시골을 여행하던 그랜트 우드는 아이오와주 남부 작은 마을 엘든에서 이 그림의 배경이 된 고딕 양식의 집을 발견했다. 그랜트 우드는 실제로 두 모델을 저 집에 세우고 작업하지 않았다. 따로 모델을 그려서 이 작품을 완성하였다. 모델이 된 집은 아직도 사람이 살고 있어서 관광명소가 되었다.
1930년 시카고 미술관에 아메리칸 고딕이 전시되었을 때 상당한 논쟁을 일으켰다. 이 시기 미국은 급격한 도시화가 진행되고 있었고, 경제적으로는 대공황의 격변기였다. 한쪽에서는 이 그림은 중서부 시골의 삶을 미국적 가치로 찬양한 작품으로 평가되었다. 힘들었던 시대 속에서 마음의 평온을 주는 전원적 삶이 드러난 것으로 보았다. 다른 편은 중서부 시골의 삶에 대한 강한 풍자가 드러난 그림이라고 주장하였다. 그랜트 우드는 어느 쪽 주장에도 편을 들지 않았다.
고향인 아이오와주 사람들은 풍자적 평가를 못마땅하게 여겼다고 한다. 그랜트 우드는 풍자적 의도만으로 그린 작품이 아니라고 부인했지만, 약간의 풍자가 있음을 어느 정도 인정하였다. 그는 작품에 대한 것을 적극적으로 설명하기보다 침묵했다. 그는 아이오와주에 살았기 때문에 중서부 삶을 풍자하는 활동이 버거웠는지도 모른다.
미국 전원의 삶을 풍자?
이 그림을 조금만 자세히 들여다보면 풍자적 비틀기가 숨어있음을 알 수 있다. 심통이 가득한 여자의 표정, 근엄한 얼굴의 남자가 들고 있는 갈고리, 고딕 양식의 창문, 뾰족한 지붕이 모여서 묘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이런 애매하고 독특한 설정 때문에 이 작품을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다.
그림 속의 커플을 어떤 이는 부부 사이로 보고 다른 사람들은 아버지와 딸로 보기도 한다. 1942년에 찍힌 사진에 의하면 여자의 얼굴을 더 나이 들어 보이게 그렸음을 짐작하게 된다. 게다가 의도적으로 여자의 얼굴을 길게 표현하고 있다.
어쩌면 이런 오해는 그랜트 우드가 의도적으로 계획한 것일 수 있다. 그림을 그릴 당시에 각각 30살과 62살이던 두 인물의 나이 차이가 그림 속에서는 좁혀져 있었다. 여자 모델이던 낸 우드 그래험은 부부로 묘사한 평론에 불쾌하게 느꼈다. 그녀는 사람들이 어떻게 나이가 두 배도 넘게 차이가 나는 관계를 부부로 보는지 이해할 수 없었다. 그래서 공개적으로 아버지와 딸의 설정으로 그린 것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그랜트 우드는 긍정도 부정도 하지 않았다.
두 인물의 관계를 딸로 볼 경우에도 여러 가지 해석이 존재한다. 딸이 노처녀라는 해석도 있다. 미술 평론가 웬디 수녀는 딸이 근엄한 아버지에 억눌려 있지만, 자유와 자기주장이 있었다고 해석한다. 여자의 목 뒤로 헝클어진 곱슬머리는 자유를 의미한다.
갈고리를 들고 있는 아버지는 딸의 처녀성을 지키려는 보수적인 가장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시골과 자연의 보수적 가치를 지키려고 하지만 딸은 그걸 마뜩하지 못하게 여긴다.
고딕 스타일은 반복적으로 표현되었다. 창살, 지붕, 남자 멜빵바지, 셔츠 등에서 고딕의 무늬를 찾을 수 있다. 여자의 옷의 물방울무늬는 모성을 상징한다. 전원의 미국적 삶과 고딕 양식은 이렇게 만날 수도 있다.
파고들수록 다양하게 해석할 수 있는 건 패러디의 좋은 소재가 된다. 모나리자도 전형적인 미인의 범주와 다르다. 눈썹도 없고 무표정한 얼굴은 그림 속에 긴장감을 자아낸다. 절규에 그려진 인물의 공포는 괴기스럽기보다 웃음을 유발한다. 아메리칸 고딕도 전원 속의 미국인들 재기발랄하게 살짝 비틀고 있다. 이러한 특징이 패러디로 인기를 구가하게 된 이유가 아닐까.
건축양식으로 고딕은 시대에 뒤떨어진 양식이다. 왜 하필이면 중서부의 삶을 표현하기 위해서 하필이면 왜 고딕양식을 빌려온 것일까? 조그만 가정집에 고전적이고 웅장한 고딕은 어쩐지 어울리지 않는다. 세련되지 않은 양식으로 고향을 표현하는 재밌는 시도를 한 셈이다.
대중 문화의 아이콘으로 성장
그랜트 우드가 다큐멘터리 같은 정확하고 냉정한 시각으로 아메리칸 고딕을 사실적으로 그렸다면, 지금과 같은 인기는 못 얻었을지도 모른다. 아메리칸 고딕은 근엄한 시카고 미술관을 벗어나, 미국을 대표하는 대중문화의 아이콘으로 성장하여 드라마 같은 삶을 살고 있다.
아메리칸 고딕은 영화 '록키 호러 픽쳐 쇼', 인기 시트콤 '딕 반 다이크 쇼'와 '심슨 가족' 콘프레이크 광고 등에서 패러디로 만들어져 대중 문화 속으로 파고 들었다. 패러디와 풍자로 끊임없이 다시 태어나 더욱 유명해진 아메리칸 고딕이다. 이 그림이 과거의 평화로운 시골 삶을 동경하는 단순한 그림으로만 인식되었다면 문화 아이콘이 되지는 못했을 것이다.
이 그림은 모호한 남녀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나이 차이가 많이 나는 부부인지, 노처녀 딸을 보호하는 보수적인 아버지인지. 아니면 가족이 아닌 다른 관계일지도 모른다. 허름한 시골집에 어울리지 않는 고풍스러운 고딕 양식도 사람들의 상상력을 자극한다. 아메리칸 고딕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될 여지를 남겨준다. 2025년 재선에 당선된 트럼프를 풍자한 크리스 리델은 트럼프와 일론 머스크를 등장시켜 아메리칸 고딕을 다시 재현한다. 100년, 200년 후에도 아메리칸 고딕을 다시 돌아올 확률이 매우 높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