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한국
-
느림보가 외면당하는 사회
‘느림’이 한국 사회에서 웃음거리이듯이 조필성은 예외적인 사람이며 실패자다. “빨리빨리”를 연발하는 사회에서 느림은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부적절한 요소이다.
-
미국 속 한국어 광고
미국 대중매체에서 한국에 관한 걸 만나게 되면 반가우면서 동시에 씁쓸해진다. 왜냐하면 미국 미디어에서 다루는 한국은 70년대에 굉장히 인기 있던 한국전쟁 시기 야전병원을 다룬 드라마 ‘매쉬’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기 때문이다.
-
그리운 노래방
미국 대중문화에서도 노래방 비슷한 것이 나온다. 한국처럼 방에 들어가 부르는 게 아니라 사람들 앞에서 대놓고 노래 부른다. 그래서 노래를 정말 잘하지 않는 사람이 나서기는 어렵다.
-
2006년 한국 영화 인상평
전체적으로 한국 영화들이 한류를 겨냥한 탓인지 포장이 아주 세련되었고, 편집, 촬영, 조명 등의 수준이 한층 좋아졌다. 이야기나 형식적 다양성은 여전히 아쉽지만, 꽤 볼만한 영화들이 많이 만들어진 한해였다.
-
2005년 한국 방문의 기록
또 하나 특이하다고 할 만한 건 ‘아파트’ 광고가 많아졌다는 점이다. 아파트 광고의 출연료는 다른 상품광고를 압도한다. 광고는 그 시대의 생활을 그대로 담고 있다는 점에서 새로운 생활양식이 출현했다고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