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그:] 과거
-
비디오로 빌려봐야 할 것만 같은 영화
비카인드 리와인드 가게는 과거에 대해 성찰을 하게 해준다. 선진, 발전이라는 명목 아래 이뤄지는 도시계획이 얼마나 폭력적 행위인지 알려준다. 낡고 허물어져 가는 과거의 건물에 사는 사람의 기억을 하찮게 여기는 사회 분위기가 문제다.
-
폴 오스터의 과거
소설가 지망생이었던 폴 오스터는 베트남전과 인종차별을 반대하는 시위에 우연히 끼어들게 되었다. 그는 대단한 사회의식을 가지고 시위에 참여한 것은 아니었다고 고백했다.
-
유난히 붉은 노을
그런 무료한 일상 중에서 가장 행복했던 시간은 저녁 먹고 학원 옥상에 올라가서 노을을 구경하는 거였다. 붉게 번지는 노을이 어찌나 아름답던지 넋을 놓고 보다 보면 금세 해가 넘어가곤 했다.
-
과거와 공존하는 현재
과거 프로그램의 인기는 기술 이외에도 다른 원인이 있다. 수용자들은 과거의 프로그램을 원하고 있고, 적극적으로 소비하길 주저하지 않는다. 미디어 회사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보다 돈을 덜 들이면서 이익을 챙길 수 있다. 새로운 시장을 개척했는데 포기할 이유가 전혀 없다. 이런 쌍방의 욕구가 만나서 과거 프로그램이 대량으로 생산되고 있다.
-
부고 기사에 담긴 문화 차이
한국 신문과 미국 신문의 차이는 무엇 때문인지 궁금해졌다. 미국 문화가 죽은 이에 대해서, 과거에 관해서, 더욱 소중히 한다는 건가? 한국은 과거를 돌아보지 않는 문화란 말인가? 그 원인을 쉽게 규명할 수는 없지만, 어쩌면 근대화의 산물은 아닐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