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문화
-
느림보가 외면당하는 사회
‘느림’이 한국 사회에서 웃음거리이듯이 조필성은 예외적인 사람이며 실패자다. “빨리빨리”를 연발하는 사회에서 느림은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부적절한 요소이다.
-
삶을 부르다 사라진 가수
KKK가 대낮에 흑인을 집단폭행하고 나무에 목매달아 죽이는 일이 흔했다. 기괴한 시체가 과일 열매처럼 매달린 것을 보았던 경험은 그녀의 노래 “Strange Fruit”으로 다시 태어났다.
-
사교장이 된 소다수 가게
금주법은 마피아와 밀주업자를 키우게 되었고 더불어 탄산음료 판매가 획기적으로 늘어나게 하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술을 못 마시게 되자 사람들은 술집 대신 탄산음료 가게로 몰려들었다.
-
아련한 부둣가의 사랑
“I Cover the Waterfront”의 노래가 나오자 단번에 대중들의 인기를 얻었다. 루이 암스트롱뿐만 아니라 당시에 다른 밴드들도 이 노래를 연주하고 노래 불렀다.
-
독일 전후 세대의 갈등과 사랑
이 영화에서 가장 인상적인 장면은 감옥에 있는 한나를 위해서 책을 읽는 걸 테이프로 녹음하는 부분이다. 마이클과 한나는 테이프를 통해서 간접적으로 소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