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위터냐 블로그냐

트위터를 열심히 하기 시작한 후로 블로그를 소홀히 했다. 블로그나 트윗이나 표현의 창구다. 트윗으로 내가 하고 싶은 말을 짧게나마 털어놓을 수 있었기 때문에 굳이 블로그로 다시 써야 할 필요를 못 느꼈다. 게다가 트윗이 반응이 훨씬 빠른 편이라서 더 재밌다. 블로그 댓글은 잘 달리는 편도 아니고 우선 느리다. 트윗의 빠른 속도에 매료되었다.

블로그에 글을 쓸 때는 주로 노트북을 이용하지만, 트윗은 단연 휴대전화이다. 가방에서 노트북을 꺼낼 필요도 없이 주머니에서 휴대전화를 꺼내서 몇 문장만 쓰면 그걸로 끝이다. 사진도 그 자리에서 폰카로 찍어서 바로 올릴 수 있다. 글이나 사진에 대한 반응이 바로 날아온다. 이 과정은 무척 빠르게 전개된다. 그만큼 빠르게 사라지기도 한다. 트위터 글에 대한 맨션의 90% 이상이 한 시간 안에 일어난다. 유효기간이 그 정도 된다는 얘기다. 한 시간이 넘어가면 타임라인에 쏟아지는 글에 묻혀 사라지기 쉽다. 간혹 리트윗을 통해서 살아나기도 하지만 아주 드문 일이다.

촌각을 다투는 엄지들의 속도전을 보는 듯하다. 그 아찔한 속도에 압도되기도 한다. 사안에 따라서 빠르게 변하는 트위터 민심이 무섭기도 하다. 몇 마디 해보기도 전에 상황은 종료되고 판결은 내려진다. 호흡이 긴 글로 의견을 쓰는 건 트윗 문법을 벗어난 배신이다. 압축해서 표현할 수 없다면 뒤처진다. 긴 글쓰기라는 변칙적인 서비스가 나왔지만, 나조차 클릭하기가 귀찮다. 타임라인 읽기도 바쁘다 보니 손이 가지 않는다.

밀린 숙제를 하듯이 타임라인을 읽다 보면 뭔가에 잔뜩 쫓기는 기분이 든다. 단위 시간당 쏟아지는 정보를 처리하기에 내 머리의 용량이 딸린다. 즉각적으로 이해되는 문장만 기억에 남는다. 어려운 말, 복잡한 생각은 들어올 틈이 없다. 트윗 문장을 계속해서 읽다 보면 나는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는 사람이 된다. 기계적으로 발을 뻗어 속도에 맞추어야 넘어지지 않는다. 앞으로 달리는 것처럼 보이지만 결국 제자리걸음이다.

트윗을 본격적으로 시작한 시점에서 나의 블로그 글쓰기는 멈춰 있다. 블로그 글을 홍보하러 트윗에 놀러 왔다가 도낏자루 썩는 줄도 모르고 블로그로 돌아오지 않았다. 다시 블로그로 돌아가려고 이 글을 쓴다. 내 호흡으로 글을 쓰고 대화하는 방식으로 돌아가려고 한다. 블로그는 내가 정한 속도로 걷는 산책이다. 세상은 너무 빠르다. 불과 몇 년 전에 나왔던 블로그가 구식처럼 여겨지니. 자연을 찾아 웰든의 호수로 돌아가자는 것도 아닌데.

트윗을 버리고 블로그로 돌아갈 생각은 아니다. 트윗의 빠른 소통은 포기할 수 없다. 블로그로 글을 쓰면서 트윗도 하는 균형점을 찾아보려는 것이다. 단상이나 간단한 질문은 트윗이 가장 적합한 매체이다. 그러나 트윗은 블로그를 대체하지 못한다. 트윗에 감탄하지만, 그 한계는 인식해야 한다. 러닝머쉰을 벗어나 산책길을 걷는 일도 필요하다.

이렇게 긴 글을 써본 게 얼마 만인지. 벌써 나의 머리는 이글을 트윗으로 자동 번역하고 있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