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북이 달린다”는 아무래도 “추격자”의 코미디 버전이라는 인상을 준다. 두 영화 모두 김윤석이란 배우가 주연했고 범죄자를 쫓는 형사의 질주가 주요한 이야기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쫓기는 자가 연쇄 살인범에서 탈주범으로 바뀌었고, 쫓는 자는 전직 경찰이었던 포주에서 시골 형사가 되었다. 기본 구조는 비슷하지만 “거북이 달린다”는 범죄보다 추격 자체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탈주범 송기태(정경호)가 어떤 인물인지는 그다지 중요하지 않고 철저하게 형사 조필성(김윤석)이 중심이 된다. 그가 어떤 인물이며 왜 송기태를 쫓을 수밖에 없게 되었는지가 이 영화의 주된 관심사이다.
이 영화에서 거북이는 ‘조필성’이다. 배경이 된 예산은 느리기로 유명한 충청도의 한 도시다. 조필성은 능력 있는 형사도 아니고 주변 동료들에게 무시당하기 일쑤다. 그는 동화 “토끼와 거북이”에 나오는 느리지만, 열심히 걷는 거북이도 아니다. 열심히 살려는 의지도 없이 그냥 한없이 늘어지기만 하는 느림보일 뿐이다. 그는 형사업무를 핑계로 다방에서 노닥거리다가 퇴근해버리는 무책임한 형사다. 그런 그가 집에서 인정받을 리도 없다. 만화방을 하는 아내의 돈을 몰래 가져다가 소싸움에 판돈을 거는 형편없는 남편이다.
비윤리적이고 무능한 형사는 한국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캐릭터다. “강철중”, “투캅스”, “살인의 추억”에서 그런 형사는 자주 나온다. 현실의 형사나 경찰도 그리 다르지 않다. 시위 현장에서 폭력진압을 하는 건 최근 용산 참사만 보더라도 알 수 있고 부패와 비리로 줄줄이 물러난 경찰의 수장만 보더라도 그렇다. 이들이 존경과 신뢰를 받는 지위에서 멀어진 것은 오래고 영화가 그걸 바탕으로 이야기를 만드는 건 너무나 당연한 이치일지도 모른다.
조필성에게 그나마 찾을 수 있는 인간미는 가족애이다. 아내와 딸을 사랑하는 마음이 영화 속에 직접 나온 건 아니지만 멍청한 짓으로 실망을 안겨준 아빠 혹은 남편을 챙겨주는 가족을 통해서 느낄 수 있다. 느리게 걷던 조필성을 달리게 한 뒷심에는 가족애가 있었다.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하는 범이다. 천재 탈주범 송기태는 조필성을 짓밟고 무시하고 손가락마저 자르며 조롱하지만 조필성은 포기하지 않는다. 가장의 악다구니로 끝까지 밀고 나가는 셈이다.
처음부터 사회 정의나 법질서를 지키려고 시작한 추격이 아니었다. 자신의 가족과 자존심을 지키려는 싸움은 대표적인 한국 형사물의 소재다. 이 영화도 그 틀을 벗어나진 못한다. 여기에서 추가된 것은 예산이란 동네 친구들의 우정이다. 뭘 해도 어설픈 이들이 모여서 탈주범을 잡겠단다. 동네 무도관 사범까지 합류한 이들이 펼치는 모험담은 웃음이 난다. 급기야 조필성과 그의 친구들은 서울에서 내려온 형사들에게 추격까지 당하게 된다. 형사 체면이 말이 아니다.
“놈놈놈”에서 등장한 나쁜 놈, 좀더 나쁜 놈, 아주 나쁜 놈이 얽힌 추격전이 “거북이 달린다”를 관통한다. 초반부의 탄탄한 설정과 웃음이 중반부로 달려가면서 조금 맥이 빠지긴 했어도 즐겁게 볼만한 영화였다. 농촌의 희화화는 약간 씁쓸하지만 그게 어쩌면 현실일 것이다. 충청도의 느림보 질주는 도시를 따라가려는 농촌의 몸부림으로 볼 수도 있다. 조필성의 성공은 운이 아주 좋은 경우며 현실에서는 일어나기 힘든 일이다.
‘느림’이 한국 사회에서 웃음거리이듯이 조필성은 예외적인 사람이며 실패자다. “빨리빨리”를 연발하는 사회에서 느림은 사회 발전을 저해하는 부적절한 요소이다. 충청도의 느린 사투리가 코미디의 단골 소재인 것도 비슷한 관점에서 이해할 수도 있다. 가장 느린 속도로 말하고 동작도 굼뜬 이들과 도시의 빠른 속도는 두드러진 대비 효과가 있다. 조필성과 예산을 무시하는 도시의 형사들의 표정 속에서 한국을 읽을 수 있다.
이 영화의 매력은 바로 탈주범 추격이라는 비교적 단순한 이야기 속에서 복잡한 한국을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보기보다 복잡한 영화 “거북이 달린다”가 주는 웃음은 씁쓸하다. 느린 녀석도 뛰어야 살 수 있는 게 현재 한국 사회다. 느린 녀석은 느린 대로 빠른 놈은 빠른 대로 그냥 좀 놔두면 안 되나. 이렇게 뛰어가다 누가 자빠져도 일으켜 세워줄 사람 하나 없는 풍경은 너무 삭막하다. 달리는 거북이는 상상만 해도 자연에 반하는 현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