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미국 텔레비전을 보다가 깜짝 놀랐다. 한국말로 하는 광고가 나오는 게 아닌가. 미국에서 한국말을 듣게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얼마 전에 영화 ‘예스맨’에서 짐 캐리가 한국어를 배우는 장면이 나온다. 미국 대중매체에서 한국에 관한 걸 만나게 되면 반가우면서 동시에 씁쓸해진다. 왜냐하면 미국 미디어에서 다루는 한국은 70년대에 굉장히 인기 있던 한국전쟁 시기 야전병원을 다룬 드라마 ‘매쉬’에서 크게 벗어나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광고는 한국의 소가 미국 캘리포니아에 왔으면 행복하겠다고 오디션에서 말하는 상황이다. 이 광고 시리즈는 예전에 위스콘신주의 추운 겨울을 피해서 날씨 좋은 캘리포니아로 이주하는 소를 다룬 적이 있다. 캘리포니아가 지상낙원이나 되는 양 떠드는 게 썩 유쾌하진 않다. 다른 주에 사는 사람들의 입장에서 볼 때 좀 그렇다.
한국을 전근대적 후진국으로 표현하는 게 못마땅하지만 그게 일반적 미국인의 생각이기도 하다. 가끔 미국인들과 만나서 대화를 해보면 그들의 생각도 크게 다르지 않다. 한국에 가본 적도 없고 미디어에서 표현하는 한국이 만날 이 모양이니 그럴 수밖에 없다. 그게 현실이니 그들의 잘못만은 아니다.
한국을 알릴 수 있는 한국학 연구소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원도 미미하고, 문화교류 같은 프로그램도 제대로 없는 상황이니 미국 탓만 하기도 어렵다. 정부는 삼성, 엘지, 현대 같은 기업이 그런 역할을 해주길 바라는 것 같다. 기업 제품 같은 상업적 이미지만으로 한국의 이미지가 고착되는 것도 문제다. 우리에게 상업 문화 말고 다른 건 없는가. 상품이 아닌 예술을 통한 문화적 교류가 가지는 잠재적 영향력은 거의 고려하고 있지 않는 것 같다. 미국 도서관에서 중국, 일본, 인도에 관한 책은 많지만 한국에 관한 자료는 한국전쟁에 관한 것뿐이다. 한국 문학작품의 번역서는 거의 없었다. 정부 차원에서 문화적 교류나 문화적 영향력을 키우려는 노력이 아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