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 황금어장의 한 코너인 ‘라디오 스타’ 진행자들이 본격 음악방송을 한다? 김국진, 윤종신, 김구라, 신정환은 라디오 스타를 통해서 거침없는 질문으로 게스트를 무시하거나 괴롭히는 특이한 토크쇼를 진행하고 있다. ‘무릎팍 도사’와 비슷하지만 다른 느낌의 ‘라디오 스타’는 주로 가수를 초대해서 근황이나 스캔들을 집요하게 파고드는 형식으로 차별화를 시도했다. 막간에 가수의 노래를 듣거나 노래방 반주에 맞춰 노래하기도 한다. ‘음악여행 라라라’는 가수의 공연에 더욱 초점을 맞춘 본격 음악방송이다.
아직 첫 방송이라서 쉽게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예상했던 것보다 괜찮았다. 녹음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공연이라서 음질은 아주 뛰어났다. 첫 출연자 선택도 적절했다. 대중적으로 잘 알려지지 않지만 실력 있는 가수 이승열이었다. 라디오 스타에서 이미 궁합을 맞춘 네 명의 진행자는 자연스럽게 특유의 색깔로 이 프로그램을 장식하고 있었다. ‘라디오 스타’ 스타일의 거친 질문을 마구 던진다. 즉흥적 진행의 방식을 ‘음악여행 라라라’에서도 그대로 느낄 수 있었다.
앞으로 초대가수 선정을 어떻게 할 것인지 알 수 없지만 덜 대중적인 가수들을 소개하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 방송에서 점점 가수들이 설 수 있는 무대가 줄어들고 있고 대중적 가수들 위주로 돌아가고 있다. 심야 음악방송도 그런 흐름을 따라간다면 다양성은 사라지고 획일적인 음악만 방송에서 들어야 하는 삭막한 현실이 될 것이다.
요즘 심야 음악방송에서 음악인이 아닌 진행자가 대세다. 김정은, 이하나 같은 배우들이 다른 방송국에서 진행하고 있고 ‘음악여행 라라라’도 윤종신, 신정환을 제외한 김국진, 김구라는 가수가 아니라 코미디언이다. 나는 음악방송을 반드시 음악인이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오히려 전문성이 떨어지더라도 대중의 입장에서 질문할 수도 있다. 음악방송 진행자는 비평가가 되어야 할 필요가 없다. 이들이 대중과 가수를 잘 이어준다면 가수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
‘김정은의 초콜릿’이나 ‘이하나의 페퍼민트’는 소규모 관객 앞에서 진행하는 쇼이지만, ‘음악여행 라라라’에는 관객이 없이 진행자와 가수만 있다. 이런 구성은 객석의 부담을 덜 느껴서 가수의 개인적 이야기를 더 많이 들을 수 있는 장점도 있다. 그리고 진행자들의 스타일도 거친 편이어서 인터뷰의 밀도가 더 높게 느껴진다. 접대용 멘트는 별로 없고 궁금한 질문이 마구 이어진다.
아쉬운 점은 인터뷰와 공연이 따로 노는 것 같다. 따로 촬영한 탓도 있겠지만 공연에 대한 인터뷰도 너무 적고 공연과 인터뷰가 유기적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인터뷰도 전문적 질문과 대중적 질문이 잘 섞여 있었으면 더 좋았을 것 같다. 그런 의미에서 김국진, 김구라에게 더 많은 부분이 할애되어야 할 것 같다.
음악방송이 새로 시작한다는 것은 반가운 소식이다. 이 프로그램이 자리를 잡아서 더 많고 더 다양한 음악인들의 공연을 방송에서 볼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