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냐 틀리냐

한국 사람들이 잘못 쓰는 말 가운데 듣기가 거북한 말이 바로 ‘틀리다’이다. 워낙 많은 사람들이 이 말을 잘못 쓰기 때문에 어디에서나 흔하게 접할 수 있다. ‘나는 틀려.’ ‘내 생각은 틀려요.’ 이 말의 정확한 표현은 이렇다. ‘나는 달라.’ ‘내 생각은 달라요.’ 하지만 사람들은 ‘틀려’를 틀리게 남발한다. 자신의 스타일은 ‘맞고 틀리고’의 문제가 아니라 ‘같고 다르고’의 문제다.

이 잘못된 표현이 내게 불편한 이유는 이 말이 담고 있는 불온한 세계관 때문이다. ‘틀리다’는 말의 짝을 이루는 말은 ‘맞다’이다. 어떤 일에 항상 정답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다양한 의견이 있을 수 있고, 다른 해결방법은 언제든지 있다. 이런 세상일을 모두 ‘맞다’ 아니면 ‘틀리다’로 정의하는 것은 지나친 논리의 비약이고 토론조차 할 수 없게 하는 비민주적 사고방식이다.

중요한 사회문제를 다루는 여론조사를 보더라도 ‘찬성’아니면 ‘반대’이다. 같은 찬성이나 반대도 그 속에는 다른 논리가 존재할 수도 있는데 그걸 들을 여유조차 없는 걸까. ‘다르다’라고 말하면 그 뒤에는 구체적인 이유가 있음에도 들을 필요도 없이 ‘틀린’ 것이라고 말하는 것은 배타적인 태도이다. 찬반의 판단이 한번 이뤄지면 그뿐인 것이다. 자세한 의견은 나눌 필요도 없이 같은 편이 되어 싸우는 운명이 된다.

자신의 의견은 정답이고 다른 의견은 오답이라는 흑백논리가 바로 ‘틀리다’라는 표현에 담겨 있다. 조금이라도 소수의 의견을 들을 의지가 있다면 다름을 인정해야 한다. 틀리다는 말로 상대를 공격하기보다 어떻게 다른지 의견을 들을 수 있는 귀를 가져야 한다. 다양성을 인정하지 않고 정답이 있을 거라 철석같이 믿고 있는 사람에게 다름은 그냥 틀린 의견일 뿐이다. ‘다르다’와 달리 ‘틀리다’는 토론을 유도하는 게 아니라 닫는 대답이다. 어떻게 ‘틀린’ 건지 물어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언어는 사회와 역사의 반영이다. ‘틀리다’는 말의 유행은 우리 편과 적을 가르는 세계관이 만연하다는 증거다. 내 눈에는 맞는 편과 틀린 편이 맞서서 싸우는 장면이 자꾸 연상된다. ‘맞고 틀리고’는 당시에 누가 힘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서 수시로 바뀔 뿐이다. 수많은 ‘다른’ 의견이 시간이 걸리더라도 최선을 찾아서 합의하는 세계가 보고 싶다.

세상의 일은 한가지 해결방식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다. 새로운 의견에 대한 ‘맞고 그르다’는 성급한 판단은 수많은 합리적 대안을 들어볼 기회조차 거부하는 것이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