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공화당의 확성기가 된 ‘폭스 뉴스’

미국의 조선/중앙/동아라고 할 수 있는 케이블 뉴스 채널 폭스뉴스는 미국 보수의 목소리를 대표한다. 중도적 성향의 CNN과 달리 ‘폭스 뉴스’는 노골적으로 우파의 논평과 뉴스를 섞어서 방송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채널을 돌리다 우연히 몇 번 폭스뉴스를 본 적이 있었다. 정치적으로 편향된 주장은 참아준다고 해도 근거 없는 비방으로 일관된 뉴스는 짜증이 나서 도저히 견딜 수 없었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서 그 심각성이 이미 도를 넘었다는 것을 깨달았다.

로버트 그린왈드(Robert Greenwald)가 감독한 ‘안티폭스(Outfoxed)’는 루퍼트 머독의 ‘폭스 뉴스’가 저널리즘에 심각한 위기를 가져왔다고 주장한다. 권력에 대한 감시기능은 사라지고 공화당의 이익에 철저히 봉사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모습을 차분히 보여준다. 이 작품은 마이클 무어의 다큐멘터리처럼 냉소적 태도를 취하기보다는 확실한 증거와 조심스러운 인터뷰를 바탕으로 폭스 뉴스의 문제점을 냉정히 고발한다.

비민주적 뉴스 생산

기자들이 뉴스거리를 찾아내고 편집진의 선택을 통해서 이뤄지는 상향식 뉴스 과정이 일반적 저널리즘이다. 하지만 폭스 뉴스 채널은 이러한 방식을 따르지 않고 사주나 경영진이 뉴스를 결정하고 기자가 뉴스를 찾아내는 하향식 뉴스 결정을 따른다. 이런 비민주적 뉴스 결정은 매일 아침 메모형식으로 기자에게 보도지침으로 내려온다. 그날 다뤄야 할 주제뿐 아니라 단어의 선택이나 동영상 촬영방법까지 상세히 명시되어 있다. 전두환 정권 시절의 보도지침 같은 언론통제가 정부가 아닌 사주로부터 나온다는 사실만 다를 뿐이다.

폭스 뉴스와 같은 비민주적 뉴스의 가장 큰 문제는 현실을 왜곡한다는 점이다. 뉴스가 현실을 반영하지 않고 현실을 왜곡하는 순간 권력이 된다.  전직 폭스 뉴스 기자의 고백은 현실 왜곡의 한 단면을 명백히 보여준다. 존 드 프레(Jon Du Pre) 기자는 레이건 대통령 생일날 레이건 도서관 보도를 배정받았다. 축제의 분위기를 보도하라는 상부의 명령이었지만 도서관에는 소수 초등학생의 견학이 전부였다. 존 드 프레 기자는 억지로 촬영을 강행해서 필요한 보도를 했지만, 대단한 축제의 분위기가 나지 않는다는 이유로 정직을 당하게 되었다.

경영진의 머릿속의 현실을 그대로 재현하기 위해 바쁘게 움직여야 하는 폭스 뉴스의 기자는 선전의 도구에 지나지 않는다. 비민주적 뉴스 생산의 체계이기 때문에 잘못을 바로잡을 방법도 구조적으로 막혀있다. 경영진은 효율적으로 자신의 가치를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고 케이블로 전파할 수 있다. 폭스뉴스는 파시즘 정권의 언론과 유사한 모습을 보여준다.

솔직하지 않은 ‘폭스 뉴스’

역설적이게도 폭스뉴스의 캐치프레이즈는 공정하고 균형 잡힌(Fair and Balanced) 시각이다. 그러한 가치에 충실하기 위해서는 보수와 진보의 목소리를 같은 비중과 태도로 다뤄야 한다. 하지만 폭스 뉴스는 사회 현안에 관해 보수 인사들 위주로 인터뷰한다. 80%의 보수 인사와 20%의 진보 인사를 모아놓고 공정한 토론이라고 할 수 있을까. 반면 중도를 지향하는 CNN방송은 똑같은 수의 진보와 보수 논평자를 모아놓고 토론한다. 어느 쪽이 더 공정한 방송에 가까울까?

폭스뉴스의 앵커가 상습적으로 쓰는 말 가운데 ‘누군가 말하길(Some say)’이 있다. 이 말은 정보원의 신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최소한 쓰는 저널리즘의 표현이다. 하지만 폭스뉴스 앵커는 정보원 보호와 상관없이 앵커나 경영진의 의견을 간접적으로 표현하기 이 말을 남용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폭스뉴스는 제삼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척하면서 앵커의 의견을 은근슬쩍 전달한다. 솔직하게 자신의 의견이라고 말하지 않고 거짓말하는 앵커는 폭스뉴스의 아이콘이 되었다.

공정한 방송을 한다면서 폭스 뉴스는 게스트를 불러놓고 말도 못하게 혼을 낸다. 폭스 뉴스의 대표 앵커 빌 오라일리(Bill O’Reilly)는 인터뷰하다가 자신의 의견과 다르면 무조건 입 닥치라고 소리치는 것으로 유명하다. 편파적인 방송을 하면서 자신은 공정한 의견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한다고 말한다.

심각히 우려되는 현실은 폭스뉴스 채널의 시청률이 지속해서 올라가고 있다는 것이다. 시청자는 폭스 뉴스의 선정적인 선동에 반응하고 있다. 폭스 채널의 오라일리의 지난 9월 평균 시청자는 4백만 명이다. 이는 같은 시간대 최고의 뉴스 시청률이다. 매일 4백만이 넘는 미국의 시청자가 허구에 가까운 쇼를 보게 된다. 폭스채널은 사주의 개인적 주장을 사실과 적당히 섞어 기사를 만들어 낸다. 기사 중간마다 “공정하고 균형 있는” 뉴스라는 주문을 걸면서 폭스 뉴스는 저널리즘을 망가뜨리고 있다.

폭스 뉴스의 인기를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요즘 시청자들은 확실히 사실만 건조하게 전달하는 뉴스보다 비록 선동적이라도 논평이 담긴 뉴스를 더 선호한다는 것이다. 보수와 진보의 논리 대결이라면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사실이나 근거가 뒷받침되지 않은 비방이나 협박은 저널리즘이라고 볼 수 없다. 폭스 뉴스가 미래의 저널리즘이 된다면 뉴스에서 합리적 토론은 사라지고 시장판의 개싸움만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고 나서 오랜만에 폭스 뉴스를 다시 시청했다. 민주당 대선후보 오바마가 테러리스트나 위험인물과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다는 방송을 내보내고 있었다. 근거도 없는 사실을 바탕으로 오바마는 위험한 인물로 재구성하고 있었다. 폭스뉴스 속 오바마는 이슬람교를 믿는 테러리스트이자 공산주의 혁명가로 그려지고 있다. 사실 확인이라는 저널리즘의 기본과정도 거치지 않은 채 억지 주장과 사실 왜곡으로 채워지는 폭스뉴스는 언론이기를 포기한 것 같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