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속 비참한 예술가

피아니스트의 멋진 연주와 화려한 삶을 기대하며 빌려 봤지만, 정반대로 비참한 피아니스트의 고통만 느낄 수 있었다. 물론 영화 후반부에 감동적인 피아노 연주가 나온다. 하지만 나머지는 피아노와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다. ‘피아니스트’는 유대계 폴란드인 피아니스트 블라디슬로프 스필만(애드리안 브로디)이 어떻게 나치의 학살을 피해 살아남는가를 다룬다. 영화를 보는 내내 스필만의 타고난 운에 감탄했다. 살아남은 자의 슬픔 따위를 영화 속에서 볼 수는 없다. 살기 위한 절박한 노력만 목격할 수 있다. 그래서 더 비참하다.

로만 폴란스키가 그린 홀로코스트는 보다 현실감이 있다. ‘쉰들러 리스트’가 휴머니즘에 과도하게 의존하고 있다면, ‘피아니스트’는 한 예술가의 눈으로 전쟁의 비참함을 담담하게 그려냈다. 스필만은 쉰들러처럼 영웅도 아니고 혼자만 살아남으려는 순박한 인간이다. 생존 욕구가 강한 어느 평범한 인간일 뿐이다. 홀로코스트에서 살아남은 대부분의 유대인에 가까운 모습은 영웅이 아니라 스필만과 비슷할 것이다.

전쟁이 발발하기 전 스필만은 라디오에서 공연할 정도로 성공한 피아니스트였다. 하지만 전쟁은 그에게서 모든 것을 빼앗아 갔다. 가족, 친구, 피아노, 그리고 인간답게 살 수 있는 권리도 한순간에 사라졌다. 인간의 몰골이라 할 수 없는 모습으로 폐허에서 근근이 살아간다. 전쟁과 전혀 상관없이 피아노만 치던 스필만은 더는 없었다.

스필만은 실존 인물로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후에 그의 경험을 자서전으로 발간했다. 하지만 그의 자서전은 착한 독일군이 그렸다는 이유로 금서가 되었다. 그가 죽기 얼마 전에서야 다시 출간할 수 있었다. 이 영화에서도 그 독일군 이야기가 나온다. 스필만의 연주를 듣고 그를 도와준 착한 독일군은 실존했었다. 그 독일군은 전쟁이 끝난 후 러시아로 끌려가 감옥에서 죽었다.

내가 본 영화 속에서 착한 독일군이 나온 것은 이 영화가 처음이었다. 그리고 유대인 가운데 독일군 편에 서서 유대인을 괴롭힌 나쁜 유대인도 이 영화에서 처음 봤다. 나쁜 유대인과 착한 독일군 모두 무척 낯설다. 나쁜 유대인과 착한 독일군은 금기시되는 존재였다. 나치에게 어머니를 잃은 유대인 로만 폴란스키는 현실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기로 작정했다. 나쁜 유대인을 그리는 것은 희생자 유대인의 이미지에 큰 타격이 될지라도 이제는 그런 주제를 다룰 시기가 되었다고 생각했었나 보다. 한국의 친일파와 비슷한 친독파 유대인은 그만큼 민감한 주제다.

배우 에드리언 브로디는 영화 속 극한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서 텔레비전, 휴대전화, 신문 등 문명을 모두 끊고 아파트에서 한동안 혼자 살았다. 스필만이 경험한 공포까지 느낄 수는 없었겠지만, 그는 연기로 그 느낌을 잘 표현하고 있다. 배고픔, 추위, 질병, 공포와 싸우면서 원시인이 되어버린 스필만의 모습에서 전쟁의 끔찍함을 느낄 수 있다.

최고의 예술가를 원시인으로 변화시킨 나치의 전쟁은 다시 기억하고 싶지도 않다. 인간답게 살 기회조차 주어지지 않은 상황에서도 살아남은 스필만의 이야기는 많은 생각을 들게 한다. 인간다움이란 무엇인가? 인간답게 살지 못하게 하는 현실을 어떻게 해석해야 하나? 스필만이 전쟁터에서 들려주었던 피아노 연주는 생존을 위한 몸부림이면서 비인간적 행위에 대한 강한 부정이었고 무엇보다도 전쟁이 파괴한 인간성을 다시 살리는 음악이었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