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웠던 2008년의 여름

2008년 5월 초에 한국으로 들어가서 8월 말이 되어서야 미국으로 돌아왔다. 2년 만의 방문이라서 한국으로 떠나기 전부터 마음이 좀 설렜다. 오랜만에 그리운 사람들도 만나고 쌓였던 할 얘기를 가슴이 담고 한국을 향했다. 이제 그 시간이 다 흘러서 다시 미국의 일상으로 돌아왔다. 한바탕 쏟아내고 오면 좀 속이 시원해질 것 같았는데 할 말이 더 늘어났다. 답답했던 한국의 정치적 현실에 덧붙일 말도 많아졌고, 블로거로서 대중문화에 관해 쓸 이야기도 늘어났다.

인터넷 여론통제, 언론 탄압, 표현의 자유 억압 같은 구시대의 산물이 한국에서 다시 돌아오리라고 생각조차 못했던 나를 돌아보게 한 시간이었다. 막연하게 세계는 점점 나아지고 있고 비이성적 세계는 점점 사라지고 있다고 믿었던 내가 한심했다. 쇠파이프로 뒤통수를 한 대 얻어맞은 것 같았고 한동안 그 혼란스러운 기분에서 헤어나오지 못했다.

한 개인으로서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그리 많지 않았다. 촛불도 들어봤고 신문 기사나 블로그 글로 울분을 표현했지만 여전히 공허했다. 그렇다고 해서 냉소적인 시각으로 세상을 체념할 수도 없는 노릇이었다. 촛불시위를 다룬 토론회나 학회도 가보았지만 과장된 낙관론과 패배주의적 시각의 양극단만 느낄 수 있었다. 하지만 그 어디에도 내가 동의할 수 있는 생각은 많지 않았다. 한 가지 확실해진 건 기술의 발전이 사회를 지켜주지 못한다는 것이다. 역시 사회를 변화시키고 지켜주는 주는 것은 사람의 힘이다.

결국, 여름을 보내며 내가 내린 결론은 좀 더 부지런히 살면서 내가 할 수 있는 몫을 다하는 거였다. 언론학자, 대중문화 블로거, 인터넷 신문기자로 살아가는 나의 본분에 충실해지자. 그리고 다양한 생각에 귀를 열어두고 열심히 듣고 토론하는 것도 중요하다. 소통을 모르고 다른 의견에 담을 쌓는 현실 정치세력에 맞서기 위해서 나부터 달라져야 한다. 그동안 열심히 듣는다고 생각했지만, 여전히 부족한 게 많았다. 마지막으로 행동으로 실천하기. 생각만으로 세상이 달라지지 않으니 행동하지 않는 지성은 골방 속에 갇힌 책이나 마찬가지다. 이게 가장 어렵지만 제일 필요한 미덕이다.

미국에 왔다고 해도 한국의 현실과 멀어진 것은 아니다. 한국에서 내 눈으로 보고 경험한 2008년 여름을 생각하면 아직도 가슴 속에서 불기둥이 치솟는다. 그만큼 한국 현실에 화가 났고 앞으로도 계속 분노하며 살아갈 것이다. 그 힘으로 세상 속으로 다시 걸어갈 것이다. 그 여름에 만난 고마운 사람들과 함께 손을 잡고 말이다.

나에게 비장한 각오를 다지게 해준 그분들께 감사한다. 덕분에 한동안 느슨해졌던 신발 끈도 다시 매고 힘들어하는 주변 사람들도 다시 보게 되었다. 느슨하게 이어진 연대의 끈을 따라서 한없이 가보고 싶어졌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