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바이벌 심사 기준

이 프로그램은 처음에 방송할 때부터 관심을 가지고 보고 있었다. 회를 거듭할수록 새로운 시도를 하면서 재미를 더 해간다. 텔레비전에서 음악 관련 프로그램이 거의 자취를 감춘 지금 ‘쇼바이벌’이 가지는 의미는 크다. 쇼바이벌은 신인들이 기량을 겨루는 자리라는 점에서 미국의 ‘아메리칸 아이돌’을 연상시킨다.

쇼바이벌이 지금처럼 틀을 갖추기 전에는 미흡한 점이 좀 있었다. 이윤석 같은 개그맨을 심사위원으로 위촉한 건 이해가 되지 않았다. 이윤석은 MC나 다른 역할을 맡았어야 했다. 물론 나중에 양희은, 신해철 등이 합류하면서 보다 전문성 있는 심사위원으로 대체했다. 그리고 조금 나아지긴 했지만, 이영자의 진행방식도 껄끄러웠다. 무슨 밤무대 오락판처럼 마구잡이로 심사위원과 방청객들을 몰아세우는 방식이 불편했다. 쇼바이벌이 오락프로그램인 만큼 지나치게 딱딱한 방식으로 할 필요는 없었지만, 분위기 띄우는 것만 중시하고 자신 중심의 방송은 곤란하다. 출연자의 사적인 영역을 방송으로 보여주는 건 좋은 시도지만 눈물을 짜게 하는 지나친 연출은 지나치다. 무대 뒤나 방송에서 자연스럽게 자신을 보여주는 모습이 더 인간적일 수 있다.

이번 방송부터 시청자들의 ARS도 점수에 합계하는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아직 이들이 신인들이긴 하지만 팬클럽도 형성되고 있어서 공정성 유지를 위해서 더욱 노력해야 할 것이다. 평가 방식에 한마디 하자면, 심사위원의 평이 방청객에게 미칠 영향을 어떻게 차단해야 할지 쇼바이벌이 좀더 고민을 해봤으면 한다. 심사위원의 평을 다 들은 후에 방청객들이 평가하는 건 참고서를 보고나서 책을 보는 것과 비슷하다. 관객이 스스로 평가할 수 있게 해주는 게 더 나은 방법이 아닌가. 심사위원들의 평이 좋으면 방청객들이 더 많은 점수를 주는 현상이 자주 목격된다. 프로그램 기획이 방청객들에게 전적인 판단을 맡기기로 했다면 심사위원 평을 듣기 전에 방청객들이 먼저 평가할 기회를 주었어야 한다. 마치 방청객들의 평가를 믿지 못해서 심사위원의 의견으로 균형을 잡으려 했다는 의혹이 든다.

쇼바이벌이 더욱 잘 되어서 실력 있는 신인들이 커가는 모습을 자주 지켜봤으면 좋겠다. 처음 방송할 때 미숙했던 가수들이 회를 더해갈수록 나아지는 모습을 보고 있으면 마음이 흐뭇하다. 반대로 회가 바뀔수록 퇴보하는 가수들도 있다. 이들의 경쟁하는 모습 자체가 아주 즐거운 볼거리다. 쇼바이벌 어떻게 변해가게 될지 무척 궁금하다.

 

광고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