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흑인 여학생이 익명의 사람이 보낸 증오 메일을 받았다. 흑인에 대한 온갖 인신공격과 심지어 흑인의 피부를 원숭이에 빗대는 모욕적인 내용이 담겨 있었다. 그 학생은 학생회에 그 메일을 보고하였고, 인종주의에 대처하기 위한 학교대책위원회가 꾸려졌다.
그와 비슷한 사례로 게이에 대한 비난과 욕설이 담긴 벽보가 캠퍼스 전역에 나붙었다. 얼마 전에는 흑인 학생이 한 무리의 백인들에 둘러싸여 집단 폭행을 당하여 턱뼈가 부서지는 중상을 입었다.
인종차별 범죄는 미국 사회의 고질적인 문제이다. 대학 도시는 비교적 안전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대도시의 슬럼 지구에 일어나는 범죄율에 비교하면, 대학 도시의 범죄는 아주 낮은 수준이다.
비교적 안전한 대학도시에서 인종차별 범죄들이 기승을 부리는 것은 무슨 이유 때문인가? 강력 범죄가 잘 발생하지 않는 대학 도시는 더이상 보안이 보장된 상아탑이 아니다. 혐오성 범죄는 단지 대학 도시만의 문제가 아니라, 외부에서 형성된 사회적 감수성이 대학 도시에도 퍼지고 있다.
이곳 ‘볼더’를 간략하게 설명하면, 1890년대에 형성된 주립대를 중심으로 서서히 발전하고 있는 전형적 교외 대학 도시이다. 1960년대를 거치면서 히피 문화가 유입되기도 하였고, 진보적인 성향의 도시로, 콜로라도주가 부시의 공화당을 지지할 때도, 주민의 70% 정도는 민주당에 투표할 정도로 주변의 보수적 동네와 차별화된다. 하지만 주민의 85% 정도가 백인으로 이뤄져 있어, 미국의 평균적인 인종구성을 고려할때 철저한 백인 중심의 공동체다.
주민의 절반 이상이 콜로라도 대학의 학생, 교수, 교직원이 차지하며, 나머지는 주변의 IBM, 마이크로썬시스템 등 IT 계열 산업에 종사하는 상당한 부유한 중산층이 살고 있다. 연평균 연봉 8만 불이 훌쩍 넘는 사람들이 살고 있어 주변보다 집값도 비싼 편에 속한다. 간단히 말해서 민주당 성향의 중산층 이상이 주로 모여 산다고 할 수 있다.
비교적 진보적 성향의 동네에서 인종차별 범죄가 발생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인종차별은 워낙 뿌리 깊고 복잡한 문제가 얽혀있어서 쉽게 단정할 수는 없지만, 최근에 발생한 인종차별 범죄는 다양성에 이해가 결여된 상황을 잘 알려준다.
종교적 박해를 피해자들이 이주해온 이민의 나라로 알려진 미국이지만, 아프리카에서 붙잡은 흑인 노예를 착취한 부끄러운 역사가 있다. 대학도시들은 부끄러운 과거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다양한 생각을 포용하려고 노력해왔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은 9/11 이후로 달라진 도전을 받아왔다. 이라크전에 대한 지지를 표방하는 언론이나, 집집마다 미국의 성조기를 다는 집이 늘어나고, ‘우리 군대를 지지합니다’라고 써 붙인 범퍼 스티커가 늘어났다. 보수적으로 변화된 사회 분위기에서 대학 도시들은 더는 성역이 아니다.
백인 사회의 타인종에 대한 이해 부족이나 경멸을 몸소 체험할 기회가 있었다. 내가 TA로서 참여하는 수업에 400명가량에 학생들이 있다. 물론 대부분이 백인이고, 아주 소수의 타인종이 섞여 있다. 얼마 전 수업의 보조 자료로 비디오를 볼 기회가 있었다. 모 학교의 교수가 광고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는 장면이 나왔는데, 갑자기 학생들이 폭소를 터트렸다. 그래서 난 무슨 유머가 섞인 장면인가 유심해 봤다. 하지만 그 장면은 아랍계열의 교수가 광고에서 인종주의가 얼마나 심각한 문제인가 지적하는 부분이었다.
그 교수가 남들과 좀 다른 외모를 가지고 있다고 해서, 그게 웃음거리가 되는 것인지 이해할 수 없어서 나는 다른 미국인 TA에게 그 문제를 물어봤다. 그 친구들도 학생들의 반응에 사뭇 놀라는 눈치였다. 소위 대학생 정도의 학력을 가진 사람들이 인종 문제에 대한 시각이 이정도라면, 그 이외 사람들은 어떨지 이해가 간다.
나는 인종문 제에 관한 전공자도 아니지만, 그게 그냥 보아 넘어가지 않았다. 인종문제는 미국 사회가 가지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 가운데 하나임이 분명하다. 역사적으로 인종분리정책이 사라지고, 소수인종을 보호하기 위한 법안들이 만들어지고 있지만, 그다지 나아진 거 같지 않다.
허리케인 카트리나가 미국을 강타한 후에 제일 먼저 제기된 문제가 인종 문제다. 부시 대통령이 다른 허리케인 때와 달리 늦장 대응을 했다고 흑인들이 불만을 호소하기 시작했다. 힙합 가수인 케냐는 허리케인 구호방송에서 부시에 대한 맹비난을 퍼부었다. 부시는 흑인이 사는 뉴올리언스는 관심을 가지지 않는다는 비난은 어느정도 설득력 있게 다가왔다. 인종차별은 단순한 인식이나 이해 부족에 그치지 않는다. 경제적 계급의 문제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가난한 흑인과 중산층 백인의 격차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백인 지구, 흑인 지구, 히스패닉 지구, 그리고 아시안 지구로 나눠어진 공동체의 모습은 미국의 한 단면을 잘 보여준다. 미국은 문화의 용광로가 아니라는 사실은 분리된 공동체가 잘 암시해준다. 다 함께 어울려 살기보다, 따로따로 모여살기를 미국 사회가 선택한 것이다.
1950년대 이후 교외지구의 번성은 백인들이 슬럼화되는 도시 내부와 흑인을 피해서 모여 살기의 결과이다. 백인들 사이에서 형성된 다른 인종에 대한 혐오는 지금 같은 상황에서 쉽게 사라지지 않을 것이다. 어려서부터 백인들 동네에 살면서, 백인들 친구와 어울리면서, 흑인이나 다른 인종과 어울릴 기회조차 없으면서, 미디어에 형성된 범죄자, 부랑아 다른 인종의 모습을 보면서 자란 백인 대학생이 길러지는 것이다.
다행히 인종범죄 위원회가 꾸려지고, 학교당국도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한다고 한다. 하지만, 이 사건이 단순히 혐오메일을 보낸 당사자를 찾고 처벌하는 수준으로 그친다면 인종차별은 고쳐지지 않을 것이다. 인종차별에 반대하는 학생단체의 행동으로 이 공동체가 처한 위기를 극복하기는 무리이다.
볼더는 각종 부동산 사이트에서 실시하는 살기 좋은 도시에 매년 순위권으로 뽑히는 도시다. 하지만, 살기 좋은 기준은 백인에게만 해당하는 말이 아닐까?